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선교도 이젠 '플랫폼 시대'

기차역이나 공항에서 사람들이 탑승하고 하차하는 곳을 '플랫폼'이라고 한다. 흔히 '플랫폼 사업'을 한다고 하면 플랫폼 자체가 서비스를 제공하기보다는 특정 서비스가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는 말이다.   기독교계에서도 '플랫폼' 개념을 이용해 복음전달과 전도 활동을 하는 선교단체가 늘고 있다. 지난 3월, 샌디에이고 소망교회에서 열린 선교축제에 참가한 신승철 선교사가 소개한 '브링업 인터내셔널(Bring Up Internationalㆍ이하 브링업)'도 그 중 하나다.   브링업은 한국의 사단법인이자 국제 NGO 단체로 국제구호, 개발, 교류 등 '선교 플랫폼' 활동을 자처하고 있다. 선교지와 후방의 교회, 단체, 기업들이 플랫폼에서 선교를 위한 자원이나 노하우를 나눌 수 있도록 기반을 만들고 지원한다. 1998년부터 세계 3대 빈민가로 꼽히는 필리핀의 바세코에서 사역을 담당해 온 신승철 선교사가 지난 2015년 설립했다.   신 선교사는 "30여 년 선교사로 일하면서 현장의 필요와 후원 단체의 지원 사이에 큰 공백이 있음을 종종 보았다"면서 "브링업은 선교사들이 진정 필요로 하는 사역을 할 수 있도록 인적, 물적 자원은 물론, 네트워크를 통해 선교지와 후원처 활동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게 지원합니다"라고 밝혔다.   한번은 캄보디아 선교지에서 2주간의 영어 캠프를 위해 학교 시설과 기숙사를 무상으로 확보했지만 영어 교사와 제반 비용이 모자라 걸림돌이 된 적이 있었다. 이 소식이 브링업을 통해 전해지면서 필리핀인 10명이 흔쾌히 교사 동역자로 자원했고 교사들의 항공료는 중국에서 보내온 선교비로, 영어 교재는 미국의 한 교회에서 제공됐다고 한다.   그는 "브링업이 있었기에 자원이 쉽게 모이고 분배되고, 연결되었고 결국 현지에서의 선교 사역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현재 브링업에는 전 세계 24개 국에서 사업본부 또는 협력국가가  다양한 선교사역을 감당하고 있다.   신 선교사는 브링업과 같은 새로운 선교 유형은 보다 효과적인 선교 방법론을 갈망하는 시대적인 요청이라고 강조했다. "오지에서의 희생과 헌신만이 선교의 전부가 아닙니다. 혼자가 아니라 팀으로, 다양한 영역의 인재들이 모여 전체로서 하나가 되는 선교가 이뤄져야 합니다. 선교의 본질을 회복하되 시대에 맞는 새로운 선교방법이 필요한 때입니다."   브링업은 선교지와 교회, 후원 단체들을 연결하고 교육과 리소스를 제공하지만 궁극적으로는 교회나 후원단체의 이름으로 일하게 한다.   ▶웹사이트:bringupi.org   ▶문의:[email protected] 서정원 기자선교도 플랫폼 선교 플랫폼 신승철 선교사 플랫폼 사업

2023-04-21

[한홍기의 시카고 에세이] 2030이 왜 중요한가? (2)

삼성이 미국의 강제 호출에 이끌려 공장 승인을 하고 돌아온 거 보면 먹거리 사회는 적자생존 그대로다. 공장 설립은 수년 후 수익을 내려면 상상 할 수 없는 자금과 기술 노동력이 들어가야 한다. 그렇다고 그것도 장담할 수 없는 것이 제조 공학의 생리며 물론 그동안은 다른 생각을 할 수 없는 정신 맨붕에 빠진다. 얼마 전까지 미국 제일주의라고 매일 큰 소리치고 테레비 앞에서 백인들을 들뜨게 한  트럼프는 바이든의 이 한마디에 비하면 아직 한참 멀었다. 그러려면 삼성은 더 이상 애플로부터 기술이나 복사하는 기업이라는 소리를 듣지 말아야 한다. 한때 세계를 호령하던 “야후”는 한동안 구글에 하청을 주었으나, 이제 야후는 이메일 사업을 끝으로 몰락하였고, 반면 구글은 데이터(Data) 수집에 전력해 플랫폼 사업에 먼저 진출했다. 요즘 전 세계는 구글을 통하지 않고 되는 일이 없다.   한국의 대기업 ‘현대’는 한때 사훈을 ‘담담한 마음을 가집시다. 담담한 마음은 당신을 현명한 사람으로 만들 것입니다’라는 표어를 붙여 놨다. 그리고 불 같은 성격의 회장은 가장 바쁜 임원에게 아무 것도 하지 말고 책상에 앉아 명상만을 하라는 주문을 자주 하곤 하였는데 조직 관리에 너무 치우치면 언제 당신이 새로운 먹거리를 생각할 수 있느냐는 신호다. 그나마 그 생각은 자동차를 비롯해 선박, 전철, 컨테이너, 중전기, 원전 사업 등으로 진출할 수 있는 동력이었다. 그러나 이마저도 자율지능 인공 기술이 없으면 물거품이다. 언제 자동차가 사라질 지 아무도 모르는 이야기다. 삼성동에 초고층 사옥을 지을 바에는 차라리 청소년 연구소를 만들어 마음껏 놀게 만드는 게 나을 것이다. 스티브 잡스 같이 차고에서 출발한 왕 회장의 정신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한국은 포퓰리즘으로 청년을 상대하여서는 안 된다. 기껏 커다란 창고에 여러 개의 식당들을 만들어주는 생각은 접어야 한다. 제대로 청년 사업을 하려면 그들에게 권한을 맡겨야 한다. 예산과 투자를 과감히 하여 플랫폼 사업에 선두 주자를 키워야 할 것이다. 이는 일본이 돈을 마구 찍어서라도 위기를 넘겨 보려고 애썼던 아베 노믹스가 실패해 아직도 20년째 제자리걸음 하는 모습과, 중국이 당 차원에서 2030을 적극 지원해 오늘날 미국과 함께 디지털 세계를 끌고 나가는 모습만 보아도 알 것이다. 지금 한국 청년들의 꿈이 ‘건물주’라는 것에 비하면 부동산 정책에만 온통 매달리는 것이 얼마나 부질없는 일인지 자명하다. 스마트 시대에 진입한 지금도 두 후보가 내건 공약을 보면 아직도 삼성을 감옥에 처넣는 구석기 시대의 모습을 답보하고 있어 안타깝다. 마치 먹거리는 한식이 최고이니 세계 1등에 나서겠다는 정말 먹거리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 지금은 산업 생태계에 일어난 대지진을 못 느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은 얼마든지 BTS가 될 수 있는 저변을 갖고 있는 청년 나라다. 그래도 지금은 비록 싸구려 인공지능으로 전락한 ‘알파고’이지만 이를 바둑에서 단 한판이라도 인류에서 이긴 이세돌이 존재하는 나라다. 아마 스티브 잡스가 아직 살아있다 해도 한국 청년의 이 천재 기록은 영원히 깨지를 못할 것이다. 한국의 꼰대들은 모두 2030에게 그들의 운명을 걸어야 할 때다. 그들 중 누가 애플 같은 회사를 1개만 설립해도 전 국민은 여행 다니기 바쁠 것이다. 물론 과거 500대 대기업도 깨갱거리는 사상 유례에 없는 초유의 빈부라며 이번에 바이든처럼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같은 부자들 개인 주머니 돈을 깡패처럼 왕창 뜯어 국민들에게 뿌릴 수 있을는지 모르겠으나 하여튼 간에 중소기업은 다시 살아날 것이다. 오미크론까지 등장해 더욱 어지럽다. ([email protected]) 한홍기한홍기의 시카고 에세이 한국 청년들 청년 사업 플랫폼 사업

2021-12-1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